한동안 개인적으로 하고 있는 일이 있어서 글을 쓰지 못했는데 ... 오랜만에 글을 올리네요 오늘 다룰 내용은 Package manage Yarn 입니다 Yarn berry 라고도 불리는데요 Yarn Berry 는 Yarn의 최신버전을 의미합니다. 정확히 Yarn의 몇 버전부터 Yarn berry라고 부르는지는 기억은 안나네요. 그럼 본론으로 넘어가 Yarn 세팅 방법에 대해 알아볼까요?
Yarn 이란?
yarn은 페이스북에 만든 package manger로 npm을 개선해서 만들었다. npm 보다 속도, 안정성, 보안성 측면에서 우수하다고 한다. 자세한 사항은 공식 홈페이지와 자료를 찾아보자.
Yarn 세팅 방법
1. Node 설치
일단 corepack이라는 package가 필요한데 기본적으로 corepack은 node 설치시 함께 포함되어 있다. 하지만 특정 node 버전 이상부터 포함되어 있으니 가장 최신 LTS버전의 노드를 설치하기를 권장
2. corepack enable를 통해 해당 프로젝트 yarn 설치
해당 프로젝트 경로에서 하단 명령을 통해 프로젝트에 yarn 설치
corepack enable
참고) 권한관련 에러 발생시 cmd(명령 프롬프트)를 관리자 권한으로 열어 해당 경로로 이동 한 뒤 다시 corepack enable 입력 하면 해결됨
3. yarn -v를 통해 깔렸는지 확인
해당 프로젝트 경로내에서 yarn -v를 입력시 해당 버전이 나온다면 yarn 설치가 완료 된 것이다.
4. yarn version update
yarn의 원하는 버전 update 원할 시 하단 명령어들 이용 ( stable 권장 / 231215 기준 stable - v4.0.2 )
yarn set version stable // yarn stable version 설치
참고)
https://yarnpkg.com/getting-started/install
'⭐FE' 카테고리의 다른 글
[JS] base64 img data를 img File 형태로 변경하기 (0) | 2024.05.18 |
---|---|
[JS] 미리보기 이미지 구현하기 ( FileReader, FileReader.readAsDataURL() 이용 ) (0) | 2024.05.15 |
react lazy loading 처리 방법 ( suspense와 lazy 이용 ) (0) | 2024.01.24 |
project별로 prettier 설정하기 ( vscode ) (0) | 2023.12.18 |
yarn으로 nextjs project 만들기 (0) | 2023.12.10 |